-- 책을 읽자

[스크랩] Re: 유대인은 무엇인가?

오르나비 2012. 10. 25. 16:34
  • 유대인은 무엇인가?
  • 누구를 유대인이라 하는가?1.1.1. 이브리트고대(古代) 유대인을 ‘히브리 인(人)’이라고 한다. 이 단어는 창세기 14장 13절에 처음 나오는데 아브라함을 가리킨다. 히브리어로 히브리 인을 ‘이브리트’라고 하는데 창세기 10장 24-25절에 나오는 아브라함의 조상 ‘에벨’에서 이 단어가 비롯되었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다. 어떤 이들은 이 단어가 ‘건너 왔다’란 뜻을 가진 ‘에베르’ 동사(動詞)에서 온 것이라고 주장 한다. 참고로 히브리어 동사 원형은 과거형이다. 아브라함이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가나안 땅에 정착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는 것이다. 아브라함은 남달리 거룩한 삶을 살았기 때문에 에베르 동사를 의역해서 이런 이름을 붙였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유대인을 ‘이스라엘 백성’ 또는 ‘이스라엘 자손(子孫)’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유대인이 ‘이스라엘’이란 이름을 가진 사람의 자손이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은 아브라함의 손자 ‘야곱’의 다른 이름이다. 이스라엘은 아들을 열 둘이나 낳았는데 네 번째 아들의 이름이 ‘예후다’다. 이것을 우리 말로는 유다라 발음한다. 참고로 ‘예후다’의 복수(複數)는 ‘예후딤’이다. 이스라엘의 열 두 아들은 대개 한 지파(支派, tribe)씩 이루었는데 유다는 유다 지파를 이루었다. 본디 유대인은 이 유다 지파 사람들을 일컬는 말이었다. 하지만 훗날 유다 지파 이외 다른 지파들은 제 이름들을 잃어 버리고 말았다. 그래서 유다가 히브리 민족 또는 이스라엘 백성을 대표하는 이름이 되었다. 에스더 2장 5절은 모르드개를 유대인이요 벤야민 지파 사람이라 한다. 본디 벤야민은 유다와 마찬가지로 한 지파의 이름이었다.1.1.2. 어머니가 유대인이어야 유대인이다.누구를 유대인이라 하느냐고 질문하면 유대인들은 보편적 원칙 두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어머니가 유대인이면 무조건 유대인이라는 것이다. 둘째, 유대교 신자가 된 사람도 유대인이라는 것이다. 비 유대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람이 유대교 신자가 되지 않고 정통파 유대인의 신앙을 따르며 철저하게 율법을 지키며 산다고 하자. 그렇다 해서 그가 유대인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유대 율법을 지키기는 커녕 신이 없다고 해도 그(녀)가 유대인 여자에게서 태어 났다면 그(녀)는 유대인이다.이 두 가지 보편적인 원칙에 대하여 모든 유대인들이 동의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자유주의 성향의 유대인들은 아버지가 유대인이면 아이도 유대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남자에게 왜 성 차별을 하느냐고 분노 하면서...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유대인 아버지와 기독교 신자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유대인이 된다. 하지만 정통파 유대인들은 어머니가 유대인이 아니기 때문에 아이는 유대인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한다. 정통파는 만약 그 아이를 유대인이 되게 하고 싶으면 유대교가 정한 개종 절차를 밟으라고 요구할 것이다. 정통파에 따르면 아버지가 기독교인이라 해도 어머니가 유대인이면 그 아이는 유대교 신자가 되는 개종 절차를 밟지 않아도 유대인이 된다. 참고로 정통파는 유대교 율법을 오늘날...더보기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bebe_-_님 원글보기
메모 :